개인정보(20)
-
마이데이터 서비스 본격 시행! 데이터 활용/관리를 위한 OOO 처리 하셨나요?
마이데이터 서비스 사전 알림, 마이데이터 서비스 론칭 기념 경품 이벤트… 여러분 모두 근래에 주 거래로 사용하고 있는 금융 애플리케이션에서 위와 같은 문구들을 많이 접하고 있으실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난해 계속 미뤄지던 마이데이터 서비스가 2022년 1월 5일을 기점으로, 본격 시행되면서 금융권은 고객 유치에 힘을 쏟고 있습니다. 심지어, TV CF를 통해서도 마이데이터 서비스의 의미에 대해 대대적으로 홍보하기 위해서 애를 쓰고 있죠. 여기서 주목해야 할 사항은 마이데이터 서비스를 이미 개시했거나, 개시 예정인 사업자의 종류가 계속해서 증가하고 있다는 것인데요. 실제로, 마이데이터 사업(예정)자를 유심히 살펴보면, 금융업, 통신업, 빅테크 등 다양한 분야에서 해당 서비스에 진입하기 위해 움직이고 있음을 ..
2022.01.13 -
개인정보유출?! 개인정보보호 위협에서 확실하게 벗어나고 싶다면
최근 키워드를 검색하면 하루가 다르게 발생하는 피해 사례를 발견할 수 있습니다. 개인정보를 보유한 조직은 이러한 사례의 주인공이 되지 않도록 유의가 필요한 시점인데요. 개인정보보호법 위반에 따른 처벌 규정이 강화됨에 따라, (의도하지는 않았겠지만) 개인정보를 유출한 조직은 큰 타격을 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이러한 리스크는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지 않을 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에서 최대 매출의 3%에 달하는 과징금을 요구할 수 있다는 규정을 통해 쉽게 느낄 수 있는데요. 이를 증명하듯이 이번 개인정보위 전체 회의 결과 총 9개의 회사가 고객정보를 유출했다는 이유로 총 10억원이 넘는 과징금을 부과 받기도 했습니다. (ㅎㄷㄷ) 개인정보유출은 더 이상 뉴스 속의 이야기가 아닙니다...
2021.11.05 -
클라우드 서비스의 편의성이 보안 위협이 되지 않으려면
최근 기업 및 기관의 클라우드 기반 서비스 선호도가 높아지면서, 이로 인한 정보 유출 위협이 급증하고 있습니다. 다수의 기업 및 기관이 클라우드 서비스를 통해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가운데, 온프레미스(On-Premise)환경과는 다른 클라우드 환경이 기존의 보안 수준을 따라잡고 있지 못하고 있기 때문인데요. 실제로 외부 클라우드를 사용해 데이터를 저장했던 여러 회사들이 클라우드 관리 소홀의 문제로 과태료 및 과징금을 부과 받기도 했습니다. 위와 같이 많은 기업 및 기관이 효율성과 편리성을 위해 조직 시스템의 일부 혹은 전체를 클라우드로 전환해 사용하면서 보안관련 이슈들이 계속해서 드러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한 주요 원인으로는 클라우드 서비스가 기존 서비스와는 다른 방식으로 운영됨에 따라 새로운 보안 방..
2021.10.07 -
오징어게임 속 개인정보 유출 사례, 이제는
요즘 굉장히 핫한 넷플릭스 드라마 . 다들 보셨나요? 저는 오픈 날 알람 설정까지 하면서 기다린 끝에, 공개된 주 주말에 바로 격파!했습니다. 첫째는 워낙 기대가 컸던 작품이었고, 둘째는 스포를 당하고 싶지 않았기 때문입니다^^; 작품에 대한 평가 자체는 호불호가 갈리는 것 같지만, 제 개인적으로는 꽤 흥미롭게 봤던 것 같습니다. 오늘 포스팅을 통해 말씀드리려고 했던 내용은 에 대한 리뷰는 아닙니다. 작품을 통해 발생했던 일련의 사건 때문입니다. 주인공이 서바이벌 게임에 참여 권유를 받는 과정에서 한 남자에게 받았던 명함을 받게 되는데요. 그 명함 속에 적혀있던 번호가 최근 큰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실제 사용자가 있던 번호였기 때문입니다. 해당 번호의 사용자는 공개 이후, 일상생활이 어려울 정도로 ..
2021.09.29 -
개인정보 이제는 ‘보호와 활용의 동시 촉진’이 핵심 과제!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보위)의 출범 1주년을 기념하는 ‘개인정보 정책 토크 콘서트’가 온라인으로 개최됐습니다.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한 정부 부처, 산업계, 학계, 그리고 시민단체를 포함한 전문가들이 모여 앞으로 국내 개인정보보호의 방향을 토론한 만큼 의미 있는 시간이었는데요. 개인정보보호에 일가견 있는 파수도 해당 토크 콘서트가 정말 흥미로웠습니다. 혹시, 연휴 전에 진행돼 놓치신 분들이 계신가요? 이번 포스팅을 통해 파수가 개인정보 정책 토크 콘서트에서 주목할 만한 주제를 쏙쏙! 알려 드리겠습니다. [명확한 개인정보보호 법적 체계 수립] 첫번째는 ‘명확한 개인정보보호 법적 체계 수립’입니다. 지금까지 개인정보보호에 대한 제재가 내려오면 기업 또는 기관의 반응이 거의 어땠는지 기억 나시나요? 대부분, ..
2021.09.28 -
개인정보보호위원회 66억원 과징금 부과, 국내 기업 및 기관의 대비 방법은?!
파수는 며칠 전 GDPR에서 역대 최고 과징금 1조 200억원을 부과했다는 소식을 전달한 바가 있습니다. (1조 200억원?! 아직 안 보신 분이 있으시다면, 아래 링크를 통해 바로 확인해주세요!) https://blog.naver.com/fs0608/222477423451 GDPR 역대 최고 과징금 1조 200억원!! 국내도 예외는 아니다? 자그마치 1조 200억원, 많은 분들이 제목에 쓰여진 금액을 보시고 이번 포스팅을 클릭하셨다고 생각됩니다.... blog.naver.com 위 글을 통해 파수는 EU의 GDPR과 같은 글로벌 개인정보보호 트렌드에 따라 국내 개인정보보호법도 이미 강화(과징금 상향 조치 등)가 진행되고 있으며, 국내 기업 및 기관의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씀 드렸습니다. 그런데, ..
2021.09.02