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보안(14)
-
챗GPT 지브리 이미지 열풍, 개인정보 문제는 없을까?
최근 지인들의 카카오톡, SNS 프로필 이미지가 하나로 통일(?)되는 현상을 경험하지 않으셨나요? 왠지 익숙한 애니메이션 스타일의 이미지입니다. 생성형 AI인 챗GPT를 통해 자신들의 사진을 애니메이션 스타일로 변환해보는 일종의 놀이(?)가 유행처럼 전세계를 휩쓸었습니다. 가장 대표적인 유형이 바로 ‘지브리 스타일’입니다. 프롬프트에 첨부한 사진을 , 등의 작품으로 유명한 ‘스튜디오 지브리’의 그림체로 변환해 달라고 AI에게 요청하는 겁니다. 오픈 AI가 챗GPT-4o 이미지 생성 기능을 추가한 후, 일일 사용자 수는 가파르게 상승해 300만 명을 돌파했습니다. 샘 올트먼 CEO는 이러한 선풍적인 인기에 “GPU가 녹아 내리고 있다”고 표현하기도 했죠. 현재 남녀노소 가리지 않고 이 유행을 즐기고..
2025.04.09 -
금융보안원, 금융권 AI 보안성 평가 본격 실시! 안전한 AI 활용 환경의 필요성
ChatGPT, 딥시크 등 생성형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기업 및 기관에서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해 AI를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됐습니다. 지금까지 굳게 닫혀있던 금융권의 망분리 환경도 자율보안체계라는 이름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죠.그러나 AI를 업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습니다. 정보 유출, 오남용, AI의 편향 학습 등 민감 데이터를 많이 보유한 금융권에서는 더욱 걱정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보안원은 지난 2월 20일, AI 보안성 평가, 공동 AI 모델 개발 등 금융권이 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25년 주요 수행 업무를 발표했습니다. 금융권의 AI 도입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정착될 ..
2025.02.26 -
ISDP 2025 보안 컨퍼런스 리뷰, 차세대 데이터 보안 및 AI 활용 전략은?
행사명 : ISDP 2025 / 제13회 정보보호 & 데이터 프라이버시 컨퍼런스일시 : 2025년 2월 11일(화)장소 :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 E (1~7 전관) / 로비주최 및 주관: 데일리시큐 ISDP 2025 (G-Privacy 2025) | Fasoo파수가 2월 11일(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13회 정보보호 & 데이터 프라이버시 컨퍼런스 ISDP 2025 (구 G-Privacy)에 참가합니다. 세션 발표와 부스를 통해 차세대 데이터 보안 및 AI 활www.fasoo.com 제13회 정보보호&데이터 프라이버시 컨퍼런스(이하 ISDP 2025)가 2월 11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E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습니다. 이전 G-PRIVACY 컨퍼런스라는 이름으로 12년 ..
2025.02.17 -
딥시크 (DeepSeek) 개인정보 수집 논란, AI 개인정보 유출 방지의 필요성
중국의 AI 기업 딥시크 (DeepSeek)가 저렴한 개발비로 ChatGPT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춘 무료 AI 챗봇 서비스를 선보이며 연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딥시크의 AI는 뛰어난 추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었는데요. 그런데 최근 여러 국가에서 딥시크의 광범위한 개인정보 수집과 민감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최신 모델인 DeepSeek-R1은 OpenAI의 GPT-4o 및 o1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약 600만 달러의 비용으로 훈련돼 경쟁 모델보다 훨씬 경제적입니다. 이러한 효율성 덕분에 딥시크는 AI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지난 1월에는 미국 iOS 앱 스토어에서 ChatGPT를 제치고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
2025.02.03 -
2025 사이버 보안 위협 전망 보고서 발표, 사례 분석과 대응 방법
직장에 다니시는 분들이라면 대부분 출근하자마자 메일함을 확인하실 겁니다. 이 과정에서 퇴근 후에 온 업무 관련 파일이나 메일함 사용량 경고 같은 메일은 큰 의심 없이 눌러보기 마련인데요. 지난 2024년에는 이처럼 의심 없이 클릭하게 되는 링크가 삽입된 악성 메일이나, 개인정보를 탈취하는 악성코드를 넣은 스미싱, 피싱 등의 사이버 위협이 기승을 부린 한 해였습니다. 이처럼 지난 2024년 동안 우리는 스미싱과 같은 다양한 사이버 보안 위협에 직면했습니다. 이러한 위협들은 다양한 지원과 기술의 발전으로 더욱 진화하고 고도화하기 시작했죠. 여러 사이버 위협 속에서 조직의 체계적인 대응을 돕기 위해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정통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이하 KISA)은 지난 한 해 발생했던 사이버 위협 사례..
2024.12.30 -
AI TRiSM: 인공지능의 신뢰성, 위험 관리, 보안을 위한 프레임워크
인공지능(AI) 기술은 의료, 금융, 제조 등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그러나 이와 동시에 신뢰(Trust), 위험 관리(Risk Management), 그리고 보안(Security)과 같은 문제를 어떻게 다룰지에 대한 고민도 깊어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상황에서 ‘AI Trust, Risk, and Security Management’의 약자인 AI TRiSM이 주목받고 있습니다. 기업과 조직이 AI를 보다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돕는 핵심 프레임워크인 AI TRiSM은 앞으로의 AI 도입 과정에서 필수적인 가이드라인으로 자리 잡을 전망입니다. AI TRiSM의 핵심 요소 신뢰 (Trust)AI 시스템이 편향 없이 공정하고 투명하게 작동하도록 보장하는 것이 핵심입니..
2024.12.1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