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lp(13)
-
DRM과 DLP, 문서중앙화 그리고 층간소음과의 상관관계
파수씨가 본격적으로 IT 트렌드 포스팅을 시작한지도 어언 5년차에 접어 들었습니다. 그 동안 써 온 글도 되돌아 보니, 300개에 육박하네요. 비밀 1가지를 말씀 드리자면 사실, 포스팅을 작성하는 사람은 한 명이 아닙니다. 즉, 파수씨의 자아가 여러 개 존재한다는 뜻이죠^^오늘 포스팅은 육아하는 파수씨가 써보려고 합니다. 만 4세 남아를 키우고 있는 파수씨는 최근 층간소음이 고민입니다. 에너지를 아낄 생각이 없는 아이, 게다가 뛰는 것을 좋아하는 남자 아이라 아무리 막으려 해도 통제가 안되는 돌발상황이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매트는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확실히 매트 위에서는 소음이 덜하긴 합니다. 문제는 이 아이가 절대 매트에서만 뛰는 건 아니라는 것이죠. 그렇다고 모든 동선 곳곳에 매트를 깔아두는 ..
2025.03.07 -
N-DLP란? EDLP와 NDLP 그리고 CDLP의 차이, 통합 데이터 보안의 필요성
앞선 1편에서는 DLP의 정의부터 장단점, EDLP의 특징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이번에는 1편에 이어 DLP의 또 다른 유형인 NDLP와 CDLP의 특징과 차이점에 대해 설명해 드리려고 하는데요. 시리즈로 이어지는 포스팅이기 때문에 혹시 1편을 못 보셨던 분들이라면, 아래 링크를 통해 먼저 읽어 보시는 걸 추천 드립니다. E-DLP란? DLP의 정의와 다양한 유형, EDLP의 특징보안 솔루션을 검토해본 사람이라면, DLP는 모를 수가 없는 단어일 겁니다. DRM과 함께 대표적인 데...blog.naver.com 1. E-DLP란? DLP의 정의와 다양한 유형, EDLP의 특징2. N-DLP란? EDLP와 NDLP 그리고 CDLP의 차이, 통합 데이터 보안의 필요성 우선, NDLP (Network DLP..
2024.12.10 -
E-DLP란? DLP의 정의와 다양한 유형, EDLP의 특징
보안 솔루션을 검토해본 사람이라면, DLP는 모를 수가 없는 단어일 겁니다. DRM과 함께 대표적인 데이터 보안 솔루션으로 언급되고 있기 때문이죠. 그렇다면 혹시 EDLP나 NDLP, CDLP에 대해서도 들어보셨나요?DLP와 다르게 위 단어들은 자주 언급되지 않아 생소하게 느껴지실 수 있을 것 같습니다. 그래서 오늘은 DLP의 정의와 함께 유형이자 구성요소인 EDLP, NDLP, CDLP까지 상세히 알아보려고 합니다. 단편으로 말씀드리기엔 중요한 내용이 많아 여러분께 자세히 알려드리고자 2편으로 준비해 봤습니다! 1. E-DLP란? DLP의 정의와 다양한 유형, EDLP의 특징2. N-DLP란? EDLP와 NDLP 그리고 CDLP의 차이, 통합 데이터 보안의 필요성 1편은 DLP의 정의와 종류, EDL..
2024.12.04 -
문서관리 보안, ECM, 문서중앙화 솔루션, 협업플랫폼 고민
오늘도 IT담당자는 고민이 많습니다.사내에 문서들은 계속 생성되고 쌓여 가는데, 관리는 어떻게 해야 하지?그 많은 문서들, 혹시 랜섬웨어에 걸리면 어떡하지? 보안도 하긴 해야 되는데…외부 업체들과의 협업이 필수적인 상황이 됐는데, 이 과정에서 문서가 유출되는 건 아닐까? 매번 암호를 풀어서 전달하는 것도 한계가 있고…좀 더 효율적이고 안전하게 협업할 수 있는 방법은 없을까?DLP를 도입해야 될까, DRM을 적용해야 할까, 문서중앙화는 느려서 퍼포먼스 이슈가 많다던데… 고민은 쌓여가고, 시장에 나와 있는 솔루션은 많고…예산은 한정적인데, 우리 조직의 기준에 맞춰 선택과 집중을 해야 하는 상황. 어떤 선택을 해야 좋은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을까?어떠신가요. 보기만 해도 머리가 아프신가요? ^^;..
2024.06.20 -
AI 보안 가이드라인, AI 이용 수칙, AI 규제법... 생성형 AI 정보유출 방지법
지난 5월, EU(유럽연합)이 세계 첫 ‘AI 법(AI Act)’을 최종 승인했습니다. 올해 11월부터 EU 27개 회원국에선 실시간 안면 인식을 한 뒤 프로파일링을 하는 등의 인권 침해적 요소를 지닌 AI 서비스가 모두 금지됩니다. 미국은 지난달 ‘AI 안전보안이사회’를 출범했고, 영국은 기업의 자발적 합의를 끌어내는 방식으로 AI 규제에 나서고 있습니다.국내에서는 개인정보보호위원회(이하 개인정보위), 방송통신위원회(이하 방통위),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등 주요 정부 부처 및 기관들이 AI 관련 가이드라인과 법안 수립을 준비하고 있습니다. 특히 개인정보위는 AI 환경에서의 데이터 처리 복잡성을 고려해, 개인정보 보호법 적용 원칙과 기준을 명확히 한 을 발표할 예정입니다. 이는 AI 기술이 개인정..
2024.05.28 -
DLP vs DRM, 영화 <파묘>로 보는 데이터 중심 보안의 중요성과 DLP의 한계
영화 가 900만 명을 돌파하면서 천만 고지를 향해 거침없이 달려가고 있습니다. 파수씨는 개봉 초창기에 봤었는데요, 솔직히 이 정도까지 천만 관객을 바라 볼 정도로 흥행 돌풍이 될지는 예상하지 못했습니다^^; 아무래도 독특한 소재와 주연 배우들의 열연, 호흡들이 잘 맞아 떨어진 결과가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이번 포스팅을 통해 추천 영화 소개를 하려던 건 아니었고요. 파수씨가 영화를 보다가 (직업병이 도져서) 인상 깊었던 몇몇 장면들을 짚어보면서 DLP 보안과 DRM 보안에 대한 이야기를 해보려고 합니다. 영화에서 스포일러가 될 만한 부분들은 아니니까 안심하세요! ^^ 영화 관련 대략적인 이야기는 많은 분들이 알고 계실 테니, 바로 본론으로 들어가도록 하죠. 요즘 ‘묘벤저스’라고 불리우는 주인공들은 악지..
2024.03.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