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287)
-
DRM과 DLP, 문서중앙화 그리고 층간소음과의 상관관계
파수씨가 본격적으로 IT 트렌드 포스팅을 시작한지도 어언 5년차에 접어 들었습니다. 그 동안 써 온 글도 되돌아 보니, 300개에 육박하네요. 비밀 1가지를 말씀 드리자면 사실, 포스팅을 작성하는 사람은 한 명이 아닙니다. 즉, 파수씨의 자아가 여러 개 존재한다는 뜻이죠^^오늘 포스팅은 육아하는 파수씨가 써보려고 합니다. 만 4세 남아를 키우고 있는 파수씨는 최근 층간소음이 고민입니다. 에너지를 아낄 생각이 없는 아이, 게다가 뛰는 것을 좋아하는 남자 아이라 아무리 막으려 해도 통제가 안되는 돌발상황이 종종 발생하곤 합니다.매트는 예전부터 있었습니다. 확실히 매트 위에서는 소음이 덜하긴 합니다. 문제는 이 아이가 절대 매트에서만 뛰는 건 아니라는 것이죠. 그렇다고 모든 동선 곳곳에 매트를 깔아두는 ..
2025.03.07 -
금융보안원, 금융권 AI 보안성 평가 본격 실시! 안전한 AI 활용 환경의 필요성
ChatGPT, 딥시크 등 생성형 AI 기술이 빠르게 발전하면서, 기업 및 기관에서 업무 생산성 향상을 위해 AI를 활용하는 것은 당연한 일이 됐습니다. 지금까지 굳게 닫혀있던 금융권의 망분리 환경도 자율보안체계라는 이름으로 점진적으로 개선되고 있죠.그러나 AI를 업무에 활용하기 위해서는 여전히 해결해야 할 문제들이 남아 있습니다. 정보 유출, 오남용, AI의 편향 학습 등 민감 데이터를 많이 보유한 금융권에서는 더욱 걱정되는 문제이기도 합니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금융보안원은 지난 2월 20일, AI 보안성 평가, 공동 AI 모델 개발 등 금융권이 AI 기술을 안전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2025년 주요 수행 업무를 발표했습니다. 금융권의 AI 도입이 보다 안전하고 신속하게 정착될 ..
2025.02.26 -
데이터 품질 관리, DQ인증, AI시대 경쟁력 확보 위해 이것부터 시작!
ChatGPT 출시 이후, 4년차 정도에 접어드니 이제 AI에 가장 중요한 것은 학습의 연료가 되는 ‘데이터’라는 것을 많은 분들이 아실 것 같습니다. 처음에는 무조건 많이, 양으로 승부하면 장땡(?)이라고 생각했었지만, 그게 아니었죠. 요즘 AI업계는 특정 AI 모델 학습에 필요한 데이터 자체가 부족하거나, 데이터 품질이 저하돼 이를 학습한 AI의 성능이 떨어지는 문제에 골머리를 앓고 있습니다.물론 AI의 알고리즘도 핵심 구성 요소입니다. 하지만 알고리즘이 아무리 정교하더라도 데이터의 품질이 확보되지 않으면 신뢰도가 크게 저하되기 때문에 아무런 의미가 없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데이터의 완전성, 유효성, 정확성 등이 확보된 데이터의 중요성이 점점 높아지고 있는 상황입니다.최근 생성형 AI는 정형 데..
2025.02.19 -
ISDP 2025 보안 컨퍼런스 리뷰, 차세대 데이터 보안 및 AI 활용 전략은?
행사명 : ISDP 2025 / 제13회 정보보호 & 데이터 프라이버시 컨퍼런스일시 : 2025년 2월 11일(화)장소 : 서울 삼성동 코엑스 3층 컨퍼런스룸 E (1~7 전관) / 로비주최 및 주관: 데일리시큐 ISDP 2025 (G-Privacy 2025) | Fasoo파수가 2월 11일(화)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제13회 정보보호 & 데이터 프라이버시 컨퍼런스 ISDP 2025 (구 G-Privacy)에 참가합니다. 세션 발표와 부스를 통해 차세대 데이터 보안 및 AI 활www.fasoo.com 제13회 정보보호&데이터 프라이버시 컨퍼런스(이하 ISDP 2025)가 2월 11일 서울 코엑스 컨퍼런스룸 E에서 성황리에 마무리됐습니다. 이전 G-PRIVACY 컨퍼런스라는 이름으로 12년 ..
2025.02.17 -
국가 망 보안체계(N2SF) 보안 가이드라인 발표, 내용과 CSAP 인증 관련 이슈 정리
국내 보안 분야의 뜨거운 이슈 중 하나죠? ‘공공 망분리 완화 정책’이 드디어 베일을 벗었습니다!얼마전 포스팅에서 2025년 새롭게 도입되는 공공ᆞ금융 분야의 망분리 완화 정책에 대해 다뤘는데요. 예상보다 빠르게 ‘국가 망 보안체계 보안 가이드라인’이 그 윤곽을 드러냈습니다. MLS 다층보안체계, N2SF 국가망보안체계, 자율보안체계 정리: 공공ᆞ금융 제로 트러스트 보안다사다난했던 2024년이 마무리되고, 변화의 바람이 불어오는 2025년이 밝았습니다. 새해를 맞아 묵은 때를 ...blog.naver.com 이미 알고 계시겠지만, 망분리 완화는 꽤 오랜 기간 논의돼 온 주제입니다. 관련 정책을 논의 중이며, 새로운 정책이 시행될 예정이라는 기사들, 이젠 익숙하실 텐데요. 이번엔 확실히 다릅니다. 공공..
2025.02.10 -
딥시크 (DeepSeek) 개인정보 수집 논란, AI 개인정보 유출 방지의 필요성
중국의 AI 기업 딥시크 (DeepSeek)가 저렴한 개발비로 ChatGPT에 버금가는 성능을 갖춘 무료 AI 챗봇 서비스를 선보이며 연일 화제가 되고 있습니다. 특히 딥시크의 AI는 뛰어난 추론 능력과 문제 해결 능력을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주목받고 있었는데요. 그런데 최근 여러 국가에서 딥시크의 광범위한 개인정보 수집과 민감정보 유출 가능성에 대한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 딥시크의 최신 모델인 DeepSeek-R1은 OpenAI의 GPT-4o 및 o1과 유사한 성능을 보이면서도, 약 600만 달러의 비용으로 훈련돼 경쟁 모델보다 훨씬 경제적입니다. 이러한 효율성 덕분에 딥시크는 AI 업계에서 주목받고 있으며, 지난 1월에는 미국 iOS 앱 스토어에서 ChatGPT를 제치고 가장 많이 다운로드된 ..
2025.02.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