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5. 3. 17. 16:19ㆍIT 트렌드가 한눈에!
최근 AI 혹은 데이터 관리와 보안 이슈에 관련된 주제를 자주 포스팅했었습니다.
오늘은 평소와는 다르게 생소하지만, 중요한 주제를 다뤄보려고 합니다. 바로 ‘보안 취약점 진단’에 관한 이야기입니다.
우선 보안 취약점이란, IT 시스템, 네트워크, SW 애플리케이션, 그리고 물리적 보안 환경에서 공격자가 악용할 수 있는 약점을 의미합니다. 예를 들어, 운영체제의 보안 패치가 적용되지 않거나, 네트워크 설정이 미흡한 경우, 인증 시스템이 허술하게 설정된 경우 등이 있죠. 이런 취약점을 방치하면 랜섬웨어 감염, 데이터 유출, 시스템 장애 등 심각한 보안 사고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최근에는 정보보안 인프라부터 소프트웨어, 네트워크, 공급망, 사이버 물리 시스템 (이하 CPS) 등 다양한 환경에서 기업의 보안 리스크가 점점 복잡해지고 있는데요. 이러한 환경에선 단순히 보안 솔루션이나 시스템의 도입만으로는 취약점을 보완하는데 한계가 있고, 스스로 진단이 필요한 부분을 인식하는 것도 어려운 경우가 많습니다. 그래서 필요한 것이 바로 보안 취약점 진단입니다.

보안 취약점 진단이란 기업 및 기관이 보유한 보안 취약점을 방치하지 않기 위해 사전에 진단하고 대응하는 과정입니다. 조직이 보유한 데이터와 운영 시스템을 안전하게 유지하기 위해선 정기적인 취약점 점검을 수행해, 보안 상태를 강화하고 법적 규제를 준수하며 위협에 대비해야 합니다. 또한, 보안 사고가 발생하더라도 기업이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인프라 자체를 강화하는 것도 필요합니다.
취약점 진단은 단순한 점검이 아니라 조직이 보안 리스크를 최소화하고 안전한 업무 환경을 구축하는 핵심적인 과정입니다. 따라서, 조직은 더욱 복잡해지는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취약점을 정확히 파악하고, 이를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전문적인 취약점 진단 프로세스가 필요합니다. 이쯤 되면 어느 정도 눈치채신 분들도 계실 것 같은데요 ㅎㅎ
데이터 보안 전문 기업인 파수가 다양한 디지털 환경의 전방위 보안 컨설팅을 위한 <통합 보안 취약점 진단 서비스>를 시작합니다!

파수의 통합 보안 취약점 진단 서비스는 쉽게 표현하면, 보안 취약점 진단 분야의 ‘백화점’과 같습니다. 정보보안 인프라부터 공급망 애플리케이션, CPS 환경까지 크게 세 가지 영역에서 발생할 수 있는 모든 취약점을 한 곳에서 완벽히 해결할 수 있도록 준비했습니다.
각 조직은 복잡하고 다양한 보안 환경 속에서 각기 다른 고민과 요구사항을 가지고 있는데요. 파수는 고객이 필요한 영역의 컨설팅 서비스를 손쉽게 선택하고, 맞춤형으로 해결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거죠. 그렇다면 이제 파수가 제공하는 각 분야별 취약점 진단 서비스를 자세히 살펴보도록 할까요?
인프라 보안 취약점 진단 서비스
인프라 보안 취약점 진단은 정부지정 정보보호 전문서비스기업인 파수가 수년간 축적해 온 보안 컨설팅 노하우과 고객 사례를 기반으로 조직에서 운영 중인 인프라 자원과 환경 구성에 대한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고, 스크립트 기반 자동화 점검을 제공하는 컨설팅 서비스입니다. 또한, 내부 정책 및 컴플라이언스 준수 상태를 강화하고 체계적으로 관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역할도 하죠.
PC 단말기, UnixᆞWindows 서버, DBMS, 네트워크 장비, 보안 장비 등 폭넓은 환경 구성에 대한 컨설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서버, WEB, DBMS 등을 대상으로 스크립트 기반의 자동화 점검을 지원하며, 정보통신기반시설 보호와 ISMS, ISO27001 등 다양한 프로젝트에서 검증된 진단 스크립트를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이러한 과정으로 조직이 보유한 인프라의 보안 수준을 향상하고 중요 자산을 안전하게 보호할 수 있습니다.

공급망 보안 취약점 진단 서비스
공급망 보안 취약점 진단은 ‘소프트웨어 보안 약점 진단원’ 자격을 보유한 스패로우의 전문가들이 안전한 SW 공급망 확보와 컴플라이언스 준수를 위한 분석과 조치 방법을 제공합니다. 진단 서비스는 자체 개발한 분석 도구를 활용해 진행되며, 구성은 소스코드를 분석 및 진단하는 Sparrow SAST, 오픈소스 취약점과 라이선스를 식별하는 Sparrow SCA, 웹 애플리케이션의 취약점을 분석하는 Sparrow DAST로 이뤄져 있습니다.
필요한 대상에 따라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고 라이선스 종류 식별로 법적 리스크도 최소화할 수 있습니다. 또한, 오픈소스 SW 목록 확인과 SW 구성요소 관리를 통해 SW 가시성 확보 및 공급망 보안 강화를 지원합니다. 이러한 신속하고 정확한 진단을 통해 소스코드, 오픈소스, 웹 애플리케이션에 존재하는 취약점 상태를 파악하고, 운영 중인 SW의 안정성 및 개발 환경을 강화해 안전한 공급망 보안을 확보할 수 있습니다.

CPS 보안 취약점 진단 서비스
우선 CPS는 물리적 요소와 디지털 시스템이 통합된 형태로, 운영 기술 (Operational Technology, OT) 및 산업 제어 시스템 (Industrial Control System, ICS)으로 구성돼 있습니다. CPS 보안 취약점 진단은 CPS 환경 내 전체 자산의 가시성 및 취약점 분석을 통해 보안 위협에 사전 대응하고 제조, 설비의 안전한 운영 기반을 확보할 수 있도록 지원합니다. 특히, 파수는 국내 초대형 공장을 포함한 다수의 구축 사례를 보유하고 있는 CPS/OT 보안 전문가들이 빈틈없는 취약점 진단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CPS 환경에서는 모든 자산을 명확하게 식별하고, 보안 취약점을 분석하며, 비정상적인 행위를 탐지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이를 위해 플랫폼, 애플리케이션, 장비 전반에 걸쳐 보안 취약점 점검을 수행하고, 잠재적인 위협을 신속하게 식별해야 하죠. 제조, 에너지, 운송 등 다양한 산업 환경에서 지속적인 진단을 수행해, 운영 시스템의 전체 자산과 네트워크 흐름에 대한 가시성을 명확히 파악하고 보안 위협에 대비할 수 있습니다.

시간이 지날수록 조직의 환경은 복잡해지고 취약점을 노리는 공격도 다양해지고 있습니다. 데이터 유출, 랜섬웨어 같은 보안 위협에 대응하기 위해선 정기적인 진단을 통해 취약점을 보완하고 운영 시스템의 연속성을 유지해야 합니다. 또한 조직의 비즈니스 및 보유한 데이터와 관련된 법적 규제 준수도 잊지 말아야 하죠.
정보보안 인프라, 공급망 애플리케이션, CPS 환경의 취약점을 고민하고 계시다면, 파수의 통합 보안 취약점 진단 서비스를 만나 보세요!
파수 제품 문의하기 | Fasoo Contact Us
파수 제품 문의하기 정보, 파수 부서별 연락처 제공, 파수 제품 문의, 생성형 AI 보안 솔루션 문의, 정보보안 제품 기술 및 장애 지원 문의, 광고 홍보 및 마케팅 문의, 채용 문의, 보안 컨설팅 문
www.fasoo.com
'IT 트렌드가 한눈에!' 카테고리의 다른 글
클라우드 환경의 개인정보 관리 및 보호, AI 기반 가명처리와 악성메일 훈련 (0) | 2025.03.31 |
---|---|
서버 개인정보보호, 지금 이대로 괜찮을까? 설문조사로 본 개인정보보호 솔루션 현황 (0) | 2025.03.26 |
크리덴셜 스터핑 주의보! 제조업 대상 랜섬웨어, 사이버 공격 대응과 정보보호 (0) | 2025.03.10 |
DRM과 DLP, 문서중앙화 그리고 층간소음과의 상관관계 (0) | 2025.03.07 |
금융보안원, 금융권 AI 보안성 평가 본격 실시! 안전한 AI 활용 환경의 필요성 (1) | 2025.02.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