퍼블릭 AI? 기업용 AI? 기업 경쟁력 높이는 생성형 AI 활용 방법 톺아보기

2023. 12. 20. 16:00IT 트렌드가 한눈에!

ChatGPT, Google Bard, Bing Chat···

 

이들은 대표적으로 우리에게 잘 알려진 퍼블릭 생성형 AI 서비스입니다. 생성형 AI 서비스는 대형 언어 모델(LLM, Large Language Model) 기반의 대화형 인공지능 서비스로, 거대한 양의 정보와 패턴을 학습하고 훈련해 새롭고 독창적인 콘텐츠를 제공합니다. LLM 기반의 생성형 AI는 광범위한 유용성을 가지고 있어 관련 시장은 빠르게 확장되고 있으며, 다른 레벨의 경쟁 우위 및 가치 창출 기회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돼 더 많은 관심을 받고 있습니다.

 

ChatGPT, Google Bard, Bing Chat 등 대중에게 익숙한 생성형 AI 서비스

 

 

하지만, 기업 및 기관들의 퍼블릭 AI 활용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업무상 비밀ㆍ개인정보 유출 위험성 및 제공받는 정보의 오류 또는 편향성이 존재하기에, 별도의 보안 교육, 가이드라인, 프로세스 및 시스템 구축 후 퍼블릭 AI 서비스를 사용하는 건 매우 중요합니다.

 

또한 생성형 AI 서비스 활용 시, 기업이나 기관에 최적화된 정보를 학습 시킨다면, 제공받는 정보의 정확성 및 유용성을 극대화 시킬 수 있습니다. 프라이빗 AI (기업 전용 LLM) 구축은 이를 용이하게 하며, 보안적인 측면에서도 통제가 비교적 수월합니다. 다만, 기업 전용 LLM 구축을 위해서는 몇 가지 핵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모든 생성형 AI는 데이터 학습을 기반으로 하므로, 어떤 데이터를 학습시키는지가 매우 중요하기 때문이죠.

 

기업 전용 LLM 구축을 위한 데이터 학습의 중요성

 

우선 첫 번째로 고려해야 할 사항은 바로 데이터 가용성 및 가시성(Data Availability and Data Visibility)입니다. 대다수 기업이 데이터 가용성 및 가시성 확보에 어려움을 겪고 있습니다. 중요 데이터가 비정형 형태로 존재하거나, 누군가의 노트북, 태블릿, 서버 등 다양한 곳에 분산 저장돼 있기 때문에 해당 데이터의 위치를 파악하기가 더욱 어려워집니다. 심지어는 데이터의 존재 여부조차 파악하지 못하는 경우도 발생하곤 합니다.

 

다음으로 중요한 요소는 데이터의 품질과 신뢰성(Data Quality and Data Reliability)입니다. 문서가 최신 버전인지, 마지막 업데이트 시점은 언제인지, 중복되는 내용은 없는지, 불필요한 데이터는 아닌지 등 학습을 위한 데이터 정보를 확실히 파악해야 합니다. 오래되거나 그릇된 정보가 학습되면 출력된 정보의 정확성과 신뢰성이 떨어질 수밖에 없으므로 많은 리소스를 투자한 기업용 AI의 가치가 저하되기 때문입니다.

 

마지막으로 고려해야 할 요소는 데이터 접근 제어(Data Security)인데요. 기업에서는 직원의 직급이나 직군에 따라 접근할 수 있는 정보가 다릅니다. 대표이사와 신입 사원이 접근할 수 있는 정보는 달라야 하며, 직군에 따라 정보의 제공 여부도 달라져야 합니다. 예를 들면, 영업팀 직원이 “우리 회사의 연봉 정보를 보여줘”라고 요청했을 때, 그 정보가 제공되면 안 되는 것처럼, 데이터 접근 제어를 통해 기업 내부에서도 그릇된 정보 제공을 통한 데이터 유출을 방지해야 합니다.

 

효율적인 데이터 학습을 위해 필요한 요소

 

프라이빗 LLM을 통해 기업의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는 데이터 가시성 확보, 데이터의 정확성과 신뢰성 유지, 그리고 데이터 접근 제어 이 세가지 핵심 요소를 고려해야 합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최적의 솔루션은 바로 파수의 랩소디(Wrapsody)입니다.

 

랩소디는 문서가상화 기술을 통해 각 문서에 고유 ID를 부여, 문서가 중앙 서버에 저장되지 않아도 언제 어디서나 문서를 사용할 수 있게 합니다. 이 고유 ID를 통해 분산 저장된 문서를 하나의 문서로 인식하고, 문서 내용이 변경될 때마다 최신 버전으로 자동 동기화됩니다.

 

또한 랩소디는 사용자별 권한에 따라 문서 접근을 제어합니다. 문서가 생성되는 시점부터 암호화되기 때문에 권한이 없는 사람은 문서를 열람할 수 없어, 데이터 접근을 통한 정보 유출을 원천 차단합니다.

결국 랩소디를 통해 조직은 문서 생애주기 전체를 효과적으로 관리해 프라이빗 LLM을 구축하기 위한 발판을 마련해 줍니다.

 

 

파수 AI 데이터 준비, 랩소디 | Fasoo Wrapsody, AI-Ready Data

ChatGPT 학습 데이터 최적화 플랫폼 랩소디, 생성형 AI 데이터 학습 방법, 문서중앙화 한계 극복 문서가상화 (VCI), ECM 한계 극복, ROT, 다크데이터 최소화, AI-Ready Data, 실시간 문서 백업, 랜섬웨어 대

www.fasoo.com

 

이외에도 파수는 퍼블릭 AI와 기업용 AI를 사용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민감 정보 유출을 철저히 방지하기 위해 생성형 AI 정보 유출 방지 솔루션 Fasoo AI-Radar DLP (AI-R DLP)를 개발했습니다. AI-R DLP는 생성형 AI 플랫폼에 대한 접근을 관리하고, 프롬프트 작성 시 유출될 수 있는 민감 정보를 모니터링하고 통제합니다. 이를 통해 기업의 민감 정보를 안전하게 보호하며 생성형 AI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파수 생성형 AI 정보유출방지 | Fasoo AI-R DLP, AI-Ready Security

생성형 AI 정보유출 방지 솔루션 AI-R DLP, ChatGPT 생성형 AI 민감정보 입력 모니터링, AI-Ready Security, 딥러닝 기술 적용, 생성형 AI 활용 환경 구축, URL 및 IP 차단 정책, Fasoo AI Radar DLP

www.fasoo.com

 

생성형 AI를 잘 활용하기 위한 첫 시작으로 파수의 솔루션을 활용해 보시면, 생성형 AI가 가지고 있는 무한한 잠재력을 잘 활용할 수 있을 것입니다.